자전거 여행--- 김훈
갈 때의 오르막이 올 때는 내리막이다. 모든 오르막과 모든 내리막은 땅위의 길에서 정확하게 비긴다. 오르막과 내리막이 비기면서, 다 가고 나서 돌아보면 길은 결국 평탄하다. 그래서 자전거는 내리막을 그리워하지 않으면서 오르막을 오를 수 있다.
'신비'라는 말은 머뭇거려지지만 기진한 삶속에서도 신비는 있다. 땅위의 모든길을 다 갈수 없고 땅위의 산맥을 다 넘을 수 없다 해도 , 살아서 몸으로 바퀴를 굴려 나가는 일은 복되다. - 프롤로그-
꽃피는 해안선- 여수 돌산도 향일암에서 자전거는 출발한다.
여수의 남쪽, 돌산도 해안선에 동백이 피었다. 산수유도 피고 매화도 피었다. 자전거는 길 위에서 겨울을 났다. 산수유가 언제 지는 것인지는 눈치 채기 어렵다. 그 그림자 같은 꽃은 다른 모든 꽃들이 피어나기 전에, 노을이 스러지듯이 종적을 감춘다. 그 꽃이 스러지는 모습은 나무가 지우개로 저 자신을 지우는 일과 같다. 산수유가 사라지면 목련이 핀다. 목련은 등불을 켜듯이 핀다.
꽃피어 봄 마음 이리 셀레니
아, 이 젊음을 어이 할거나
7세기의 젊은 여승 설요가 쓴 시인데 세상으로 돌아가는 노래이다. 그 여자는 시 쓰는 사내의 첩이 되었단다. 7세기 봄과 13세기 봄이 다르지 않고 , 올봄이 또한 다르지 않다. 그 꽃들은 해마다 새롭게 피었다 지고 지금은 지천으로 피어있다.
*흙의 노래를 들어라 *가을 빛 속으로의 출발 *가까운 숲이 신성하다 *나이테와 자전거 *여름 연못의 수련, 이어인 일인가. * 한강의 삶은 지속이다 *전환의 시간 속을 흐르는 강 * 노령산맥 속의 IM F *시간과 강물 * 꽃피는 아이들 * 빛의 무한한 공간 * 만경강에서 * 시간이 기르는 밭, 선진강 여우치 마을, 등 29편의 글이실려있다. 그의 자전거는 강산을 누빈다.
산맥을 넘고 강을 건너 자전거 여행으로 풍수와 역사를 만난다. 말없이 일만 하는 부부를 만나고 숲과 찻잎의 덕음 , 그리고 기다림으로 남는 경기만 염전과도 만난다.
'당신의 다리는 둥글게 굴러간다.허리에서 엉덩이로 무릎으로 발로 페달로 바퀴로
길게 이어진 다리가 굴러간다.' - 김훈의 자전거를 위하여 - 김기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