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Essay]

사랑한다는 말

물오리 2017. 4. 16. 20:06


                                 

미명(未明)에서 한 줄기 빛으로 깨어나는 자연을 담았다.

하늘을 배경으로 억새꽃이 춤추는 광활한 들녘, 삼나무 숲길과 아름다운 제주의 사계, 그는 신비로운 순간을 렌즈에서 잡았다. 그러나 철저하게 홀로 쓸쓸히 살다간 그의 생은 깊은 겨울처럼 추웠다.

이 글은 제주에 반해 그곳에서 살다간 사진작가 김영갑의 이야기다. 그가 남긴 유고집 < 그 섬에 내가 있었네> 에서 ‘단 한 번도 사랑한다 말하지 못했다.’라는 그의 글을 보았을 때, 나는 알 수 없는 안타까움으로 가슴이 짠해 왔다. 그리고 그 말은 책을 덮고 난 뒤에도 마음에서 떠나질 않았다. ‘사랑한다는 말’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을 왜 그는 한 번도 하지 못했을까.

‘사랑’이란 단어의 사전풀이는 ‘아끼고 위하며 한없이 베푸는 일’이다. 참 좋은 말이다. 그 좋은 말을 우리는 얼마나 하면서 살고 있는가, 라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의 삶에서 사랑을 빼놓고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사랑은 받는 것도 주는 것도 따뜻하고 행복한 일이다. 그래서 예나 지금이나 끊임없이 사랑을 노래한다.

인간은 탄생의 순간부터 부모의 극진한 사랑을 받고 자란다. 그 사랑 속에서 성장하여 청춘이란 빛나는 시절에 열정적인 사랑을 만나 기쁠 때나 슬플 때나 함께하는 가족으로 귀착한다. 사랑이란 말은 어쩌면 우리 삶 전체를 아우르는 말이지 싶다.

고향 동창이었던 남편은 말 수가 적은 사람이었다. 그가 내게 해준 사랑의 고백은 ‘내 사람이 되어줘’였다. 결혼해서 아이가 생기고 문득문득 사랑한다는 그 말이 듣고 싶었다.

“당신 나 사랑해?”

“이사람아, 그걸 꼭 말로 해야 아나, 아! 그래 사랑해”

마지못해 한마디 해주던 생각이 난다. 어디 나뿐일까, 지난번 문우들 모임에서 옆자리에 앉은 B 여사에게 느닷없이 물어보았다.

“바깥어른께 사랑한다는 말을 들어 보셨어요?”

“아니, 나는 한 번도 그런 말을 들어 보지 못했어요.” 하며 멋쩍게 웃는다.

우리 세대들은 마음은 있어도 사랑한다는 말을 표현하지 못했다. 인의(仁義)를 근본으로 하는 유교 사상에, 동방예의지국(東方禮義之國)이란 교육을 받고 자랐기 때문이다. 나 역시, 이 나이 되도록 가족들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글로는 써보았으나 말로는 쑥스러워하지 못했다.

첫 손자가 그야말로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이제야 말문이 트여서 ‘사랑해’ 라는 말을 아낌없이 해 주고 있다. 요즘 젊은 세대는 자기 마음을 당당하게 표현한다. 어쩌다 TV 방송을 보면 노인들도 안아주고 사랑한다는 말을 한다. 진행자가 유도하고 있겠지만, 어찌 되었든 이제는 가족에게도 친구에게도 이웃에게도 사랑한다는 말을 표현하며 살아야 할 것 같다. 그 말을 하므로 우리의 삶은 얼마나 아름답고 따듯한 삶이 되겠는가, 삶의 근원이며 원천이 되는 사랑, 그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새겨 볼 일이다.

사람의 마음은 입발림이라 해도 사랑한다는 말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진다는 연구 발표가 나온 지 오래다. 마치 억지로 웃어도 좋은 호르몬이 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이제라도 사랑하는 가족에게 또는 친구에게‘사랑한다는 말’을 아낌없이 해주며 살아야겠다.

제주도의 바람이 된 사진작가 김영갑, 그처럼 ‘사랑한다는 말’을 아쉬움으로 남기지 말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