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발은 하얗고 조그마하다.
소화를 돕는 다는 첫 번째 발가락아래, 상응점을 찾아 꼭꼭 눌러 드린다.
“ 그만 됐다.” 나이든 딸 팔 아플까봐 그만 하라 하신다. 어머니는 올해 87세시다. 요즘 노환으로 고생하시어 마음이 아프다. 영영 떠나시는 줄 알고 놀란 적도 몇 차례 있었지만 그때마다 자리를 털고 일어나셨다. 헌데 이번에는 심상치가 않다. 언니랑 여동생, 우리는 주중에도 주말에도 안산 어머니 곁에서 시간을 보낸다. 이런저런 이야기로 말동무 해 드린다. 마흔셋에 막내아들을 낳으셨는데, 고맙게도 그 아들 덕에 말년을 편안하게 지내시고 있다. 남들은 편찮으시다 하면 ‘수를 하셨네.’ 하지만 내 가슴은 무쇠 덩이를 얹혀놓은 듯 무겁다. 어느 자식이 부모님 환후(患候)에 마음 편할까만 나는 유독 지은 죄가 크다.
“엄마 죄송해요. 늘 걱정만 드리고 ”
“팔자인걸, 아이들이 잘 컸으니 이젠 괜찮을 거다. 그리고 울지들 마라. 살만큼 살았고 때가 되어 가는 거니”
어머니를 중심으로 모두 둘러앉았다. 그리고 말씀을 들었다. 아플 때마다 너희가 잘해주어 오래 살았다는 이야기와 형제간에 우애 있게 살라는 말씀을 하셨다. 동생도 나도 울음보가 터졌다.
삼년 전 만해도 여름휴가를 함께 하셨다. 그해는 딸들이 어머니를 모시고 고향 땅으로 떠났다. 멀지 않은 충청북도속리산, 그곳은 돌아가신 아버님과의 추억이 있는 곳이다. 어머님께서 즐겨 드시는 다슬기국은 법주사 인근에서 빠지지 않는 식단이다. 화양계곡에선 백숙을, 신탄진 묵 마을도 들리고 어머니가 좋아하시는 식단을 찾아 일정을 잡았다. 자그만 키에 하얀 모시 한복을 입은 어머니는 성격만큼이나 깔끔하고 단아 하셨다. 법주사 앞에 숙소를 정하고 저녁을 먹으러 나갔다.
“할머니 젊으셨을 땐 참 고우셨겠어요.” 식당 아주머니 말이다. 방금 지은 따끈한 밥에 다슬기와 시래기를 듬뿍 넣은 국이 한 그릇 더 나왔고, 친정어머니가 생각난다며 주방 아주머니는 찬도 이것저것 신경을 써주었다. 어머니는 맛있게 드셨다. 법주사 경내를 보려면 오리 숲을 걸어야 하는데, 아무래도 어머니는 무리일 것 같았다. 무슨 수가 없을까 궁리를 하던 차에, 119구급차가 보였다. 염치불구하고 도움을 청하니 흔쾌히 승낙해준다. 긴급차량이라 미안한 마음도 있었지만, 덕분에 우리 딸들은 효도 할 수 있었다. 맑은 물이 흐르는 화양계곡에서 먹는 백숙은 부드럽고 달콤했다. 가는 곳마다 어른을 우대하는 예의와 정이 있어 ‘살기 좋은 세상’ 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산천(山川)도 수려하고 인심도 좋고 ,어른과 동행하니 우리도 대접을 받는다. 괴산을 지날 무렵, 장독대에 늘 심으셨던 빨간 맨드라미를 보시곤 반갑다하셨다.
“ 형님 형님 시집살이 어떱디까, 애고 애고 말도 마라, 시집살이 눈치 살이, 고추 당초(唐椒) 맵다 한들 시집살이 더 맵더라.” 어머니는 뒤 좌석에 앉으셔서 노래를 하셨다. 우리는 따라 부르며 박수를 쳐드렸다.
시계가 자정을 알린다. 그만들 가라고 손짓을 하신다. 자식살림을 염려하심이다. 위급한 상황이오면 바로 연락을 하겠다는 막내 남동생의 말을 듣고 나는 차에 올랐다. 칠흑같이 캄캄한 안산고속도로- 내 마음만큼 어둡고 적막했다. 어머니 없이 지금의 내가 존재할 수 있을까. 언제나 따듯하게 보살펴 주셨다. 덕분에 아이들도 다 자랐고 나도 건강하다. 그 은혜를 말로 어찌 다하랴.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어머니라는 이름 앞에 무릎을 꿇는 것은 무엇으로도 대신할 수 없는 큰 사랑 때문이리라. 어머니는 내 삶에 버팀목이었고 든든한 후원자였다. 어머니가 생전에 계시다는 것, 그것은 분명 홍복(洪福)이었다. 이른 새벽 전화가 울린다. 혹시나 하여 가슴이 내려 않는다. 수화기를 드니 막내다.
“ 누나, 엄마드릴 좋은 약 없을까. 영양주사를 삼일 간격으로 놔드리면 어떨까. 엄마가 돌아가신다고 생각하면 가슴이 철렁해, 한 삼년만 더 계셨으면 좋겠어.” 말끝을 흐린다. 젖이 모자라 암죽으로 키운 막냇동생, 내 등에 오줌을 싸대더니 어머니를 생각하는 신통한 말에, 한동안 찡한 마음으로 앉아 있었다. 그러나 막내 말대로 다시 한번 해 보자. 우리는 합심을 했다. 언니는 보약을, 나는 영양제를, 동생은 순한 주사약을, 막내 댁은 부드러운 곰국을, 부드러운 빵과 인절미도 마련하고 어떻게든 입맛을 찾으셔야 한다는 생각이다.
“엄마 막내가요 돌아가실까 봐 일이 손에 잡히질 않는데요. 우리도 그렇고요, 힘내셔서 일어나셔야 해요.” 그러기를 달 반 어머니는 차도가 있으셨다. 요즘에는 주말에만 찾아뵙는다.
“자네가 고생이 많네. 자네 덕이야”
“ 제가 뭘요. 형님들이 하시면서” 막내 올케는 말한다. 연세가 있으셔서 얼마나 더 우리 곁에 계실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다시 웃음을 찾으셨고 거동도 하신다. 내년 봄에는 막내가 만들어 드린 미니 옥상 밭에 상추며 쑥갓, 오이 고추, 그 예쁜 푸성귀를 다시 한번 보고 싶다. 요즘 내가 알게 된 것은 효심으로 드리는 약은 효과가 두 배라는 것이다. 그리고 부모님의 수명도 자식의 정성에 따라 연장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10월초 새털구름이 멋지다. 오늘은 내 마음도 깃털처럼 가볍다. 다들 모이는 주말, 살이 오른 꽃게를 샀다.
“ 어머니 우리 왔어요.” 손을 잡으니 빙그레 웃으신다. 나는 가슴이 저려와 어머니 손을 꼭 잡았다.
'수필[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이와 씀바귀 (0) | 2011.03.04 |
---|---|
내가만난 클래식 (0) | 2011.03.04 |
개나리꽃이 필 무렵 (0) | 2011.03.01 |
나의 文學世界--- 가슴속 그 울림 (0) | 2011.03.01 |
그리운 금강산 (0) | 201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