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만난 클래식  -월간문학발표-


    솨 -아 바람이 분다. 

    드넓은 평야에 키가 큰 호밀이 물결처럼 일렁인다.

    열한 살 자리 꼬마는 눈을 감고 그 움직임의 소리를 음악으로 듣고 있다. 그리고 이내 양팔을 벌려 지휘를 한다. 지그시 감은 소년의 얼굴은 마치 달콤한 꿈속을 거니는 듯 행복해 보인다. 시네라마로 다가오는 밀밭과 소년, 자연을 배경으로 한 영상은 감동으로 다가 왔다. 

   밴드 싱어이자 기타리스트인 아빠와 첼리스트인 엄마 사이에서 태어나 특별한 음의 감각을 갖고 있는 소년 ‘어거스트’,  부모의 신분 차이로 외조부에게 버려져 고아원에서 자라게 된 아이는, 입양을 거부하고 엄마 아빠를 찾겠다는 일념으로 기차를 탄다.  레일 위를 달리는 바퀴소리도 음악으로 듣고, 주변에서 들리는 잡음까지도 곡(曲)으로 듣는다. 음악의 천재성을 가진 아이,  우여곡절 끝에  뉴욕오케스트라를 지휘하게 되고, 마침내 공연장에서 애타게 그리던 가족을 만난다.  밀밭에서 바람소리를 지휘하던 소년은 청중을 향해 지휘봉을 힘차게 휘젓는다.  며칠 전에 본 ‘어거스트 러쉬’라는 영화 내용이다. 스토리는 단편 소설을 보는 듯 했지만, 내 가슴에 감흥으로 남아있는 것은 11세 소년이 세상의 모든 소리를 음악으로 듣고 있는 것이었다.

  잎들이 반짝이는 오월, 요즘에 내가 듣는 음악은 비발디의 ‘사계’중의 봄이다.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곡이지만, 다시 한 번 음미하며 들어보니 느낌이 새롭다. 

 

  ‘신나는 봄이 와

  새들은 흥겨이 노래하며 반기고

  냇물은 산들 바람실어

  도란도란 흘러간다.’ 

 

  유럽서정시의 한 형식인 14행시 (소네트)가 소개하는 글에 있다.  봄 1악장, 빠르기를 지시하는 알레그로, 곡은 마치 맑은 호수에서 진주처럼 영롱한 물방울이 마구 튀어 오르는 듯, 생동감이 전해 온다.  찬란한 봄의 기쁨이 표출되어있고 생명이 숨 쉬는 움직임이 들린다.  세상의 모든 만물이 활기찬 봄, 아름다운 음률에 나도 모르게 빠져들어 간다. 어렵게만 생각했던 클래식, 우연히 만난 한편의 영화 덕에 무지했던 귀가 열린다.

 

  지난해 타계하신 내 스승님은 클래식음악을 즐겨 들으셨다. 브람스 교향곡 제1번, 베토벤 교향곡 제5번, 바흐 , 쇼팽, 모차르트, 음반을 바꾸어 걸어드리면서도 건성으로 들었다.

  “음악을 듣다보면 그들의 영혼과 만나는 것 같아”

  곡을 들으시며 말씀하셨을 때도 나는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했다.  정말 무식꾼 그 자체였다. 

   초여름으로 가는 유월, 로테르담 필하모닉오케스트라 내한공연을 알리는 기사가 일간지에 실렸다. 나는 작심을 하고 예매를 했다. 객석을 메운 청중은 숨을 죽이고 있다.  이윽고 지휘계의 젊은 거장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야닉네제 세겐이 무대로 나와 인사를 한다.  창단 된지 90년이라고 했다. 오늘 연주하는 곡은 소련의 음악가 ‘디미트리 쇼스타코비치 (1891~1953)의 교향곡 5번 D단조 작품47’이다.  악기를 안고 있는 70여명의 단원들, 나는 가슴이 두근거렸다. 드디어 1악장 서곡이 흐른다. 화려한 선율에 바이올린, 차분한 음색의 비올라, 그 부드럽고 감미로운 음이 홀을 감싸 안는다.  이어 경쾌한 왈츠에선 우아하게 춤을 추는 남녀 한 쌍이 그려진다.  중후한 음을 지닌 콘트라베이스, 그리고 첼로, 클라리넷, 트럼본 ,하프, 팀파니, 트럼펫, 그 외에 많은 악기들이 내는 다양한 음색에 나는 놀라고 있었다.  때로는 커다란 산이 다가오는 듯 장대하고, 때로는 거대한 파도가 질풍노도하며 달려오는 것 같이 웅장했다.  부드럽고 강렬하고 그런가하면 플루트의 맑고 깨끗한 소리는 깨어나는 아침 숲 속으로 나를 안내했고, 새들의 노랫소리도 들리는 듯 내 마음은 더 없이 평화로워진다.  지휘봉을 손에든 야닉은 음을 따라 크고 작게 온 몸으로 청중을 사로잡는다.  단원들의 손놀림 또한 물결처럼 움직인다.  신비스런 현(絃)에 도취되어 시종일관 나는 눈을 감고 감상을 했다. 로테르담필하모니의 탄탄한 연주는 너무도 완벽한 앙상블이었다.

 

    오늘 연주되었던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5번은, 투쟁에서 승리라는 주제를 가지고 있는데, 1937년 발표한 곡으로 ‘스탈린의 압제에 대한 쇼스타코비치의 대답 이었다’라고 표기되어있다.  4반세기를 독재적으로 통치하던 시기, 개인의 자유를 말살하고, 소련을 핵시대로 이끈 그 암울했던 시대적 배경이 작품 속에 녹아 있었다.  정치적 공포감, 애수에 찬 번뇌와 침통함이, 그런가하면 다시 희망과 기쁨, 그 모든 것이 4악장에 걸쳐 표현되어 있었다. 어쩌면 인생의 모든 역정(歷程)이 들어있었다고 해야 할까. 두 시간여 공연 속에서 나는 또 다른 세계를 경험하고 있었다.  인간의 마음과 여린 감성까지도 섬세하게 표현 해내는 클래식, 그 마법과도 같은 곡을 만든 음악가들은, 일찍이 자연의 숨소리를, 아니 이 세상의 모든 소리를 음악으로 듣고 있었다.  앙코르곡까지 듣고 자리를 떠나며, 그들의 영혼과 만나는 것 같다고 하셨던 스승님의 말씀이 무슨 의미였는지 나는 비로소 이해할 수 있었다.       

   “음악은 항상 우리 곁에 있어요. 귀 기울이기만 하면 돼요.”

   소년 어거스트가 한 말이 귓가를 스치고 지나간다.              


                                        



'수필[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음(錄音) 연습-- -충북수필-  (0) 2011.03.05
냉이와 씀바귀  (0) 2011.03.04
어머니, 나의 어머니  (2) 2011.03.01
개나리꽃이 필 무렵  (0) 2011.03.01
나의 文學世界--- 가슴속 그 울림  (0) 2011.03.01
Posted by 물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