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월 초, 봄비가 내린다.
아파트 주변에 있는 개나리가 꽃 피울 채비를 한다. 이맘때가 되면 마음 저편에 접혀있던 아픈 기억이 나를 흔들어 댄다. 1980년 봄, 그날도 가랑비가 내렸다. 큰 트럭에 이삿짐을 가득 싣고 종알대는 꼬맹이들을 앞자리에 태우고 충청도 고향을 떠나 서울로 출발했다. 시원하게 뚫린 중부 고속도로 갓 길엔 노란 개나리가 봄비를 머금고 흐드러지게 피어 있었다.
결혼생활 9년, 딸아이 셋과 나를 두고 그는 급하게도 먼 길을 떠났다. 부부로 인연을 맺어 자식을 낳고, 검은 머리 파뿌리 되도록 사랑하며 변함없이 살자는 말, 그는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떠났다. 그러나 그 사랑은 두 사람의 인고(忍苦)를 감당해야 하며 예기치 못한 일이 생겼을 때, 막중한 책임이 따르는 일임을 우리는 때로 잊고 산다. 슬픔은 남아 있는 자의 몫이라고 했던가, 그의 빈자리는 어린것들을 하루아침에 아빠 없는 아이들로 만들어 버렸다.
“울고 싶을 땐 실컷 울어라. 그러나 조만간 울음을 그치고 네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살펴보아라. 좌, 우, 위, 아래를, 경거망동해선 안 되며 너를 바라보는 눈망울을 생각해라. 침착하게. 침착하게. 침착하게......”
침착 하라는 말을 세 번이나 하신, 내 스승님은 소식을 듣고 긴 편지를 보내주셨다. 비로소 나는 마냥 이렇게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죽음이란 언제 어떻게 올지 그 누구도 모르는 일, 조금 일찍 떠났을 뿐이라고 납득은 되지 않았지만 그렇게 생각하기로 했다. 일 년 탈상을 하고, 시어머님의 만류도 뿌리 치고 나는 그의 흔적을 뒤로했다.
이곳 시흥은 서울이라고는 했으나 변두리였다. 모든 것이 낯설었다. 아이들을 재우고 나면, 서울과 안양을 오가는 차들의 소음만이 간간이 들려왔다. 망망대해에 홀로 떠 있는 조각배, 내 마음이 그랬다. 그로부터 나는 일하는 엄마가 되었고 새로운 일에 적응하느라 마음도 몸도 바빴다. 그러나 가슴엔 소망을 담고 있었다. 그것은 아이들이 잘 자라 주는 것과, 내가 시작한 일이 아이들과 함께 자라 그 모든 것을 감당할 수 있기를 소원했다. 그 무렵, 우연히 박완서 씨의 단편‘엄마의 말뚝’을 읽게 되었다. 자전적인 소설로 그분의 어머님은 자녀의 장래를 위해 대처(大處)로 나왔다. 삯바느질로 장만한 산꼭대기 허름한 집, 그 집은 자식을 잘 길러 보겠다는 엄마의 의지의 말뚝이 깊게 박혀 있었다. 시대는 달랐으나 뭔가 나에게 한 수 던져주는 것 같았다.
우선 밝게 컸으면 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어린이날은 하던 일을 접고 아이들과 함께했다. 당시 세종 문화회관 대강당은 오월이면 어린이를 위한 뮤지컬 공연을 했다. 나는 아이들과 함께 연극 관람하며 아이들의 미래를 그려보곤 했다. 파랑새, 피터 팬, 이상한 나라 앨리스, 그 일들은 여러 해 계속되었다. 지금은 작고한 분이지만 연극배우 추송웅 씨가 기저귀를 찬 아기 역할을 해서 관객의 박수를 받았고, 가수 윤복희 씨는 마녀로 분장해 열연을 했다. 돌아오는 길엔 조잘조잘 말들이 많았다.
학기 초에는 잘 보살펴 달라는 편지를 담임선생님께 썼으며, 방학이 되면 엄마가 하는 일을 함께 했다. 그러다 보니 우리를 태운 조각배는 세상이란 험란한 바다를 그런대로 순항할 수 있었다.
'인간은 자기 삶을 스스로 개척한다고 하지만, 주님의 커다란 섭리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어려울 때가 있으면 그 후에 기쁨을 꼭 마련해 놓으신다'는 위로의 말을 고향 선배님은 늘 해주셨다. 덧붙여 그대는 잘해낼 수 있을 거라며 힘찬 응원도 아끼지 않았다. 그 응원에 힘을 얻었고 어려움이 생겼을 때마다 힘겨웠지만 털고 일어섰다. 또한 나를 보고 자라는 내 아이들이 어려울 때, 이 어미처럼 잘 이겨내리라는 생각을 하면서...
내 주위에는 내 삶을 격려해주는 따뜻한 분들이 있었다. 그래서 그 오랜 세월 기댈 수 있었고 돌아보면 감사한 마음뿐이다.
“인생은 한 번뿐이다. 열심히 일하고 당당하게 살아라. 어두운 밤이 지나면 새로운 태양이 솟아오른다.”
성년이 된 딸아이들에게 지금도 내가 해주는 말이다. 노란 개나리가 그 동안 몇 번이나 피고 졌는지, 둘째가 결혼과 함께 보금자리를 찾아갔고, 큰아이는 조각을, 막내는 무역 일을 하고 있다. 영원한 타향이 될 것으로 생각했던 이곳이 이제는 정이 들어 제2의 고향이 되었다.
봄볕이 화사하다. 아파트 주변 개나리가 피기 시작한다.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성경의 그 말씀을 생각하며 봄이면 흐드러지게 피는 개나리, 이제는 정녕 너를 슬픈 마음으로 보지 않으리라.
'수필[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페 플로라 (0) | 2017.04.22 |
---|---|
사랑한다는 말 (0) | 2017.04.16 |
아리랑과 더불어 산다. (0) | 2017.03.24 |
수화(手話)를 배우며 (2) | 2017.02.22 |
김을 재며 --- 시어머님 생각 (2) | 201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