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에서 물이 나온다는 석수(石水)동에서 이년 살았다.

유래를 찾아보니 관악산과 안양 유원지 일대에 석공이 많아 석수(石手)동이라고도 했다. 아파트 바로 뒤에는 높지 않은 산이 있는데 그 숲 속에 <석수 도서관>이 있었다.

책을 읽다가 창밖을 보면 숲 속 풍경이 운치를 더해주었다. 봄에는 뻐꾹새가 울었고 여름에는 철새들이 새끼를 키웠다. 가을에는 단풍이 고왔고 겨울에는 설경이 볼만했다. 신간에서 고전까지 책이 많았다. 그곳에서 나는 근래 없이 많은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집에서 조금 걸어나가면 이내 안양천이다. 청계산 계곡에서 흘러오는 물은 한강으로 유입되는데 늘 깨끗하고 맑았다. 흰 고니는 아침 햇살에 날개를 고르고 물오리가 새끼를 데리고 소풍을 나왔다. 그뿐이 아니라 징검다리에 서면 언제나 어린 치어들이 몰려다닌다. 냇물이 돌아오는 산모롱이에는 병풍처럼 둘러쳐진 크고 작은 산들이 보이는데 그곳에 서면 냇가에서 소꿉놀이했던 내 유년의 고향이 다가선다.

 

   지난봄, 안양천을 따라 광명시 하안(下安)동으로 한 번 더 이사를 했다. 구름산 아래 있는 편안한 동네란다. 지인에게 이곳 이름을 말하니 ‘이름이 참 예쁜 동내네요’ 한다. 베란다에 서보면 오른쪽은 구름산이고 왼쪽은 안양천이다. 그리고 내가 사는 이곳은 지은 지 오래되어 그런가, 하늘을 향해 시원하게 뻗은 침엽수가 있고, 제법 몸통이 굵어 가지가 휘도록 잎을 달고 있는 나무가 많다. 그 덕에 아침 공기가 신선하고 새는 노래한다.

 

  이른 아침, 나는 안양천으로 산책 하러 나간다. 유유히 흐르는 내(川)는 여전히 맑은 물을 흘려보낸다. 천변 둑길을 걷다 보면 마주 서 있는 벚나무를 만나는데, 어찌나 튼실한지 그 아래서면 하늘이 보이지 않는다. 지난봄에는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많은 상춘객을 불러 모았다. 나도 가까이 지내는 문우들을 불러 꽃 마중을 했다. 요즘은 조금 때 이른 코스모스가 피기 시작했고 키 큰 갈대가 바람에 일렁인다.

 

   고향을 떠나 삼십 년 살던 00아파트가 안양천을 끼고 있었다. 그곳이 재개발로 들어가서 그야말로 노년을 새집에서 살아보자는 꿈을 가졌었다. 하지만 처음 시작한 조합장은 무슨 잘못을 했는지 다른 사람으로 바뀌고, 조합원들의 예상과는 달리 삼 년을 계획했던 공사가 육 년이 걸렸다. 일차 분담금이 있었고, 시간을 끄는 동안 자제 값이 올라 이차 분담금을 내게 되어 손해를 보고 나가는 사람이 많았다. 나 역시 좀 무리를 한 것이 화근이었다. 결국, 입주를 기다리는 동안 본의 아니게 몇 번의 이사만 하고 아쉽게도 새집 꿈을 접었다.

 

   지나간 세월을 돌아보면 나는 내(川)를 끼고 살았다. 왠지 냇가에 서면 언제나 마음이 편안했다. 그것은 내가 자란 시골 풍경이 보여서인지도 모르겠다. 흐르는 냇물에 광목을 삶던 어머니가 보이고, 미역 감는 동무들이 보인다. 그뿐만이 아니라 장마가 지고 물이 늘어나면 친구들과 놀았던 그 냇물에 물장구치는 내 어린 딸아이들 모습도 선하게 보인다.

 

   신세대 문학이라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세계적 작가로 알려진 일본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취미가 이사란다.

  ‘짐을 챙겨 동네에서 동네로 옮겨 다니노라면 정말 행복한 생각이 든다. 그것은 모든 것을 무(無)로 만들 수 있다는 거다. 이웃과의 교제, 인간관계, 그 밖에 온갖 일상생활에서 자질구레한 일, 그러한 일들이 한순간에 소멸해 버리는 것이다. 이 쾌감은 한번 맛보면 잊을 수가 없다.’라고 했는데 생각하기에 따라 그것도 나름의 취미일 수 있겠다 싶다.

 

   가재도구를 정리하여 짐을 싸고 짐을 옮겨주는 사람을 부르고, 사실 이사라는 것은 생각만 해도 힘들고 번거로운 일이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부닥치고 보니 동네마다 새로운 환경이 좋은 점도 있고 그리 나쁘지만은 않았다. 그리고 취미로 이사를 한다는 하루키의 마음도 조금은 알 것 같았다.

 “이 동네 살아보니 괜찮네.”

 “엄마, 어디든 마음 붙이면 다 좋아요.”

  지난해 작업실을 강화로 옮긴 큰애 말이다. 하기야 이 강산 어딘들 예쁘지 않으랴, 다만, 내가 흐르는 곳이면 나는 어디라도 하루키처럼 이삿 짐을 쌀 것 같다.

'아름다운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철안에서  (0) 2017.01.13
필사 전시  (0) 2016.11.13
여름방학 일기  (0) 2016.11.12
손자의 반전  (0) 2016.11.12
어느날 일기  (0) 2016.09.03
Posted by 물오리

 

버스를 타면 나도 모르게 노약자석 부터 살피게 된다.

지지난해 간단한 무릎수술을 받고 생긴 버릇이다. 헌데 어김없이 젊은 청년이나 여학생이 앉아 스마트폰에 얼굴을 묻고 있다. 뒷좌석이 비어 있는데도 말이다. 그럴 때 나는 그들에게 속삭인다.

“ 저기요, 무릎이 좀 안 좋아서 그런데, 자리 양보 좀 해 줄래요.”

“ 아! 예 "

미안한 표정을 지으며 이내 자리를 내어주는 청년도 있고, 간혹 얼굴을 찡그리며 마지못해 좌석을 내어 주는 여학생도 있다. 나는 ‘고맙습니다.’ 아니면 ‘고마워요.’ 라는 인사를 잊지 않는다.

버스는 무릎이 성치 않은 승객을 위해 기다려주질 않는다. <노약자석>은 노인이나 몸이 약한 사람을 위한 전용좌석이다. 그들이 그것을 모를 리 없을 텐데 어떤 마음으로 앉는 걸까. 아마도 별생각 없이 가까우니 편해서 앉았을 것이라 짐작된다.

 

어쩌다 볼일이 있어 외출을 하게 되면 아침저녁 출퇴근 시간은 가급적 피한다. 하루 일을 시작하는 그들에게 조금이라도 피해를 줄 가 봐서이다. 스킨이나 로션 향을 풍기며 정갈한 차림으로 출근하는 직장인들을 보면, 지나간 시간들이 떠올라 나도 모르게 미소 짖는다.

가끔은 세월이 단숨에 가버린 것 같은 착각을 한다. 그리고 어느새 노약자석을 찾는 자신을 보고 놀라기도 한다. 누군들 열심히 살지 않았을 까만 일하고 자식 키우고 나니 어느덧 노년에 접어들었다. 마음 같아선 젊은이들에게 노약자 좌석은 비워달라고 부탁하고 싶다. 대부분 뒷좌석은 비어 있으니 말이다.

며칠 전 버스를 탔는데 얼굴도 잘 생긴 젊은이가 나를 보더니 이내 자리를 내어주고 뒷좌석으로 간다. 나는 또 ‘고마워요.’ 인사를 했다. 그날은 기분이 좋았다. 고맙다는 인사도 하고 ...,

'수필[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십 대는 새댁 -인생 하프타임-  (0) 2013.07.21
말 말 말  (0) 2013.07.17
호암산(號巖山)의 여름  (0) 2013.06.19
햇볕 가득한 오후  (0) 2012.01.20
제11회 수필의 날 (수필의 역사를 짓다.)  (0) 2011.07.17
Posted by 물오리

 

 

 

   칠월 중순, 간밤에 내린 비로 숲 속 향기가 상큼하다.

아침 여섯 시쯤이면 나는 산행으로 하루가 시작된다. 관악산 줄기 아래 있는 호암산이다. 정상에 있는 바위 모양이 호랑이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천하 대장군, 지하 여장군, 두 개의 장승이 익살스러운 얼굴로 등산객을 반긴다. 초입에 들어서면 숲 속 향기는 한결 산뜻하다. 산세(山勢)를 설명하는 안내도가 서 있고, 말라 있던 계곡에 물소리가 시원하다.

"안녕하세요. 일찍 오셨네요."

"예, 날씨가 좋습니다."

산을 오른 지 여러 해 되어 낯익은 얼굴이 많다. 약수터 표지판을 보며 가다 보면 '푸른 숲 가꾸기'에서 만들어 놓은 나무 계단과 난간을 만난다. 산그늘에도 긴 의자가 띄엄띄엄 있는데, 나무의 곡선을 그대로 살려서 한껏 운치를 더해준다. 한번 쉬었으면 할 때 만나는 의자는 통나무를 생긴 그대로 잘라 만들었다. 나지막하게 설치해 놓은 모양새가 펑퍼짐한 아줌마들 엉덩이같이 생겨서 볼 때마다 웃음이 나온다.

“깍깍” 까치는 아침 인사를 한다.

“너희도 잘 잤니?”나도 화답을 해준다.

낙엽송이 시원하게 뻗어있다. 나무 표피가 하얀색은 자작나무, 그 나무 앞에는 작은 정자가 있다. 올라온 길을 마주하며 나는 숨을 돌린다. 서울과 안양을 달리는 차들이 보이고 내가 사는 아파트도 시야에 들어온다. 먹이가 괜찮은지 통통하게 살이 찐 청설모 한 쌍이 소나무를 안고 돌며 올라간다.

"뒤따라가는 녀석이 수컷일 거야"

"무슨 소리, 요즘은 암컷이야."

동행한 친구 말에 나는 웃음이 나왔다. 이곳 시흥 호암산은 갓 가지 새가 많다. 안양에 있는 서울 대학교 수목원과 산줄기가 닿아 있어서다. 초봄에는 나무 쪼는 소리가 온 산을 울리더니, 딱따구리란 녀석이 나무 중간쯤에 둥지를 틀었다. 새끼 두 마리가 조그만 입을 벌리며 먹이를 받아먹는 모습이 앙증맞고 귀여워 보는 즐거움이 한몫했는데, 서운하게도 이십여 일 만에 떠나버렸다. ‘휘이익 쪼르르 쪽쪽쪽...,’ 어디선가 휘파람새가 운다. 나는 이 새 울음소리를 들으면 <북한 답사기> 묘향산 편이 떠오른다. 그곳 안내자의 말에 의하면 휘파람새는 홀아비 귀신이 변한 새란다. 그래서 시시때때로 '호올딱 벗고 자자. 호올딱 벗고 자자 호호호' 하고 우는 거란다. 하기야 소리가 고운 꾀꼬리도 처녀 넋이 변한 새 인지라 울 때마다 '머리 곱게 빗고 시집가고지고 가고지고' 그렇게 운다는 설이 있다.

(韻)을 맞추어보면 그럴싸하게 맞는다. 새소리는 듣는 사람에 따라 수십 가지로 들린다고 한다.

노간주나무, 개암나무, 박달나무, 그리고 밤나무가 동무해주는 오솔길로 접어들면 칼같이 생긴 칼바위가 위용을 자랑한다. 그 기세를 감상하며 조금 더 오르면 '한 우물'이라는 우물이 나온다. 신라 시대에 만들었다 하는데, 가물 때는 기우제를 지냈고 전시에는 군용으로 사용 했다한다. 기이한 일은 이 높은 곳에 어떻게 맑은 물이 늘 고여 있는지, 심한 가뭄에도 물은 마르는 일이 없다.

정상에는 해태 상하나가 우뚝 서 있다. 조선 왕조 도읍설화에 기록된 것은, 경복궁 해태와 마주 보게 하여 관악산의 화기를 누름으로써 장안의 화재를 막기 위해 세운 거라고 했다. 주술적인 뜻이 있나 보다. 그 밖에도 무학 대사가 창건했다는 호압사가 있고, 전시 때 치열했을 것 같은 성터가 자리하고 있다. 나는 언제나 성터 너럭바위에 앉는다. 산허리를 감고 있는 구름과 능선이 아름답다. 시원하게 불어오는 바람은 상쾌하고 골짜기에 얼굴 내민 노란 아기 똥 풀은 오늘따라 더욱 곱다.

이산을 찾은 지 십여 년이 넘는다. 하늘 높은 줄 모른다더니 작은 키에 몸은 비대해지고 숨을 쉬는 것이 버거운 증세가 왔다. 그 무렵, 동네 한 분이 위암 수술을 받았는데 회복이 빨랐다.

"참, 건강해 보이시네요."

"새벽에 호암산으로 등산하러 다녀요, 근력도 생기고 기분도 좋아요."

그 후 나는 그분을 따라 산행을 시작했다. 계곡을 끼고 생긴 등산로는 가파르지 않아 좋다. 봄이면 싸리 꽃이 흐드러지고 오월이면 아카시아 향이 온 산을 덮는다. 멀미날 것 같은 밤나무 향도 빼놓을 수 없다. 여름이면 우거진 숲에 새들의 울음소리, 가을엔 나뭇잎과 떨어진 밤송이, 도토리 줍기에 바쁜 다람쥐와도 눈을 맞춘다. 그리고 한겨울의 눈부신 설경, 이제 나는 이 호암산에 묻혀 산다.

일이 힘들 때도 마음이 편치 않을 때도 나는 자주 산에 올랐다. 그때마다 이 산은 나를 넉넉하게 품어주었다. 나뭇잎에 매달린 이슬이 이마를 적시면 가던 길을 멈추고 조롱조롱 열매를 달고 있는 나무를 본다. 봄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떨어트리는 가을을 준비하는 나무들, 불평 없이 자기 삶에 충실한 모습을 보면, 나도 자연을 닮아보자 애써 그런 생각을 해 본다. 짙은 솔 향에 잡생각을 씻어내고 내려오는 발걸음이 가볍다. 콘트라베이스 음향처럼 조용하면서도 장엄하게 찾아오는 자연의 숨소리, 이 모든 것이 나를 위해 있다고 생각해보면 얼마나 큰 축복인가.

하루를 여는 아침의 맑은 정기를 가득 안고 하산하는 길은 잣나무가 있는 숲길이다. '사랑할 것이 너무 많다'는 라디오 진행자의 오프닝 멘트가 오늘따라 기분 좋게 들린다.

'수필[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 말 말  (0) 2013.07.17
노약자석과 스마트폰  (0) 2013.06.21
햇볕 가득한 오후  (0) 2012.01.20
제11회 수필의 날 (수필의 역사를 짓다.)  (0) 2011.07.17
딸이 더 좋아  (0) 2011.03.05
Posted by 물오리

 

 

사계 문우님들

 

 

 

 

효진 오토테크 김상철 회장님과 동호인들

 

 

 

 

축시를 읽어주시는 박후자 시인님

 

2013년  5월 26일,  가족과 문우님들 그리고 지인과 친구들이 참석한 출판기념회

금천문인회 회원님들. 

 

 

'여행[Alb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갑다 독도야.  (0) 2016.11.02
아름다운 우리땅 독도  (0) 2016.07.13
이시형 박사님 인터뷰  (0) 2011.06.23
고양 꽃전시회  (0) 2011.05.11
네덜란드 여행 - 풍차마을  (0) 2011.02.09
Posted by 물오리

가을비가 내리는 토요일,

막내가 맛난것 사준다고 전화가 왔다.

바닷가재 , 랍스터 처음 먹어보는 음식이다.

연어와 새우가 든 음식이 에피타이저로 나왔다.

 

 

 다음엔 호박에 크림이 들어간 호박스프,  달콤했다.

 

 

 

베이컨과 올리브 야채 샐러드가 상큼했다.

 

 

바닷가재가 김이 모락모락 났다.

맛이 담백하고 고소했다.

 

 

가재를 구워서 다시 칠리 쏘스에 뭍혔는데 달콤하면서도 졸깃쫄깃했다.

그 맛은 정말이지 일품이었다.

 

 

 

 막내와 와인 한잔했다. 늘 어미 생각해 주는 그 마음이 고맙다.  

맛난것을 먹고 나니 내 마음도 행복했다.  ㅎㅎ

 

 

'가족 이야기[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내 딸 혼인  (0) 2016.05.20
딸들과 여름 휴가  (0) 2015.08.14
조카 시집가는 날.  (0) 2012.04.04
손자 잠옷 만들기  (2) 2012.01.29
석수초등학교 학예회  (0) 2011.12.08
Posted by 물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