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에 행사가 있어서 오랫만에 한복을 입었다.
더 나이 들기전에 찍어준다고 딸이 촬영을 했다. 역시 우리 한복은 우아하고 품위가 있다.
'가족 이야기[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들과 여름 휴가 (0) | 2015.08.14 |
---|---|
막내 덕에 입이 호강한 날 (0) | 2012.10.27 |
손자 잠옷 만들기 (2) | 2012.01.29 |
석수초등학교 학예회 (0) | 2011.12.08 |
손자와 동요부르기 (0) | 2011.10.30 |
집안에 행사가 있어서 오랫만에 한복을 입었다.
더 나이 들기전에 찍어준다고 딸이 촬영을 했다. 역시 우리 한복은 우아하고 품위가 있다.
딸들과 여름 휴가 (0) | 2015.08.14 |
---|---|
막내 덕에 입이 호강한 날 (0) | 2012.10.27 |
손자 잠옷 만들기 (2) | 2012.01.29 |
석수초등학교 학예회 (0) | 2011.12.08 |
손자와 동요부르기 (0) | 2011.10.30 |
막내 덕에 입이 호강한 날 (0) | 2012.10.27 |
---|---|
조카 시집가는 날. (0) | 2012.04.04 |
석수초등학교 학예회 (0) | 2011.12.08 |
손자와 동요부르기 (0) | 2011.10.30 |
손자,손녀와 함께 동요를.. (0) | 2011.08.26 |
오전 열 시가 되면, 거실에는 햇볕이 가득하다.
그 해님은 돌아서 오후 두 시쯤, 내 방으로 찾아온다. 살구색 커튼을 통해 들어온 햇볕은, 마치 무대 조명등을 켜 놓은 듯 방안이 환하다. 문갑 위에 춘란(春蘭)은 봄을 기다리고 있는데, 햇볕을 받아 난 잎은 푸름으로 더욱 반짝인다. 나는 이럴 때, 좋아하는 음악을 듣거나, 차 한 잔을 마신다. 지리산자락에서 보내온 감잎차를 마시며, 그리운 벗들의 얼굴을 그려본다. 동지섣달, 이 깊은 겨울에 내가 누리는 호사다.
요즘 햇볕을 마주하면 새삼스레 고맙다는 생각이 든다. 둘째 딸 덕분에 이곳 남향집으로 이사를 온 지, 일 년이 막 지났다. 아파트 뒤로는 그리 높지 않은 산이 있고, 앞으로 조금 나가면 내(川)가 흐르는 안양천이다. 꽤나 많은 세월을 살았는데, 지금처럼 남향집에서 살아보긴 처음이다. 젊은 날은 일하느라 바빴고, 추운 기운이 들어온다는 북향집만 피했지, 집값이 더 나가는 남향집을 택하기에는 부담도 되었고, 또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던 것 같다. 예로부터‘남향집에 살려면 3대가 적선을 해야 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이곳에 살면서 사계절을 맞고 보니 왜 그런 말이 있는지, 이제는 알 수 있을 것 같다. 무엇보다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듯하다. 그래서 남향집을 길(吉) 한집으로 꼽았나 보다.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에 가면, 화가 오지호(1905- 1982)의 대표작인‘남향집’이 전시 되어있다. 조선의 빛을 처음으로 화풍에 담았다는 이 그림은, 언제 보아도 정감이 넘친다. 햇볕이 쏟아지는 오후, 빨간 원피스를 입고 대문을 나서는 단발머리 소녀와 담벼락 아래 낮잠을 즐기는 흰둥이, 보고 있으면 내 유년의 고향이 떠오른다. 그 담벼락 앞에 옹기종기 앉아 소꿉놀이했고, 공기놀이했던 어린동무들이 보인다.
‘남향집’은 1935년, 개성에 있는 ‘송도 보통학교’ 미술교사로 있을 때, 화가 오지호가 살았던 집이라고 한다. 대문을 열고 나오는 여자아이는 둘째 딸이라고 했다. 이 그림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잘 그려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2년 벽두에 무료전시회를 하고 있는데, 그의 유족이 미술관에 기증했다고 한다.
지구의 건강상태가 예전 같지 않아, 대체로 일사(日射)량이 작아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지난여름은 많은 비가 내려서 피해도 컸지만, 볕을 보기가 정말 어려웠다. 햇볕의 고마움을 모르는 이가 어디 있을까만, 나는 이 겨울 무량으로 쏟아지는 볕이 마냥 고맙기만 하다. 어느 문학지에‘햇볕이 소중해 한여름에도 양산을 쓰지 않는다.’는, 노(老) 작가의 글을 읽은 적이 있는데, 그 문구를 보며, 나도 모르게 미소가 지어졌다.
나이가 들면 소중한 것이 많아지는가 보다 이 겨울 , 찾아온 햇볕에 나도 행복하다
노약자석과 스마트폰 (0) | 2013.06.21 |
---|---|
호암산(號巖山)의 여름 (0) | 2013.06.19 |
제11회 수필의 날 (수필의 역사를 짓다.) (0) | 2011.07.17 |
딸이 더 좋아 (0) | 2011.03.05 |
딸과 무대 (0) | 2011.03.05 |
옛사랑
남들도 모르게 서성이다 울었지
지나온 일들이 가슴에 사무쳐
텅 빈 하늘 위 불빛들 켜져 가면
옛사랑 그 이름 아껴 불러보네.
막이 오르자 화려한 조명 아래 가수 이문세는 그의 히트곡 ‘옛사랑’을 부른다. 하얀색 싱글 정장을 입고, 키 큰 의자에 반쯤 걸터앉아 기타를 튕기며 부르는 그의 감미로운 음성은 관중의 감성을 단박에 사로잡았다. 객석 3천 석을 메운 올림픽 경기장, 사람들은 그의 노래를 조용히 듣고 있었다. 아예 눈을 감아 버린 사람도 있다. 누구나 옛사랑 하나쯤은 가슴에 간직하고 있을 터, 사오십 대 관중들의 얼굴에는 그리움과 감동이 스치고 있었다.
“반갑습니다. 여러분은 문세 파티에 오신 것입니다. 음악을 듣고 위로받으시고, 행복한 파티가 되셨으면 합니다. 한해를 꿋꿋하게 잘 살아온 자신에게 박수를 치십시오. 일 년 동안 너무 수고하셨습니다.” 그는 첫 인사를 했다. 150명의 스텝들이 수고를 하고 있다고 했다. 무대 양쪽에는 대형 스크린이 걸려 있고 서라운드(Surround) 음향이 홀을 울린다.
내가 이문세 팬이 된 것은 꽤 오래전 일이지 싶다. 그의 노래는 단백하고 부드럽다. 한가하거나 조용한 시간에 자주 듣곤 하는데, 귀에 거슬림이 없이 부르는 그의 음성은 듣는 이의 마음을 더없이 편안하게 해 준다. 깔끔한 외모에 예의가 바른 말솜씨, 그리고 위트와 유머, 그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이다. 이문세가 진행하는 라디오 방송을, 별 밤 지기 때부터 요즘의 아침방송까지 즐겨 듣고 있는데, 그의 다정다감한 말솜씨를 팬들은 알고 있는 터다.
어느 날인가 초등 일 학년 손자가 이문세의 ’붉은 노을’을 부르고 있었다. 놀라서 물어보니 친구들에게 배웠다고 했다. 아이돌 가수 빅뱅이 리메이크 (remake) 한 덕분이기도 하지만, 세대를 넘나드는 노래에 나는 적잖이 놀랐다. ‘이문세 콘서트 한번 구경하고 싶네.’가족들 앞에서 혼자 말을 한 것 같은데, 신묘년이 저물어 가는 12월에, 막내딸이 표를 마련해 모녀가 길을 나섰다. 십여 년 만에 찾은 공연장은 많은 사람들로 북적였다.
이문세는 1952년생으로 만 52세다. 방송인 이종환 씨에게 발탁이 되어 라디오 방송을 하게 되었고, 작곡가 이영환을 만나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게 된 것, 그동안 자신이 걸어온 발자취를 차분히 이야기했다. 사랑이 지나가네, 붉은 노을, 덕수궁 돌담길, 광화문 연가, 나는 행복한 사람, 부르는 노래마다 소름이 돋을 만큼 사람의 마음을 황홀하게 만들었다. 공연장을 찾은 팬들을 위해 앙코르곡까지 거반 세 시간을, 정성과 성의를 다해 노래를 들려주었다.
공연 중간에 간단한 ‘포토 상’시상이 있었는데, 오십대 부부의 표정을 잡았다. 공연이 시작되기 전에는 남편어깨에 기대어 눈을 감고 있더니, 공연이 시작이 되고 나서 기뻐하는 표정이 나란히 스크린에 나왔다. 관객들은 웃음이 터졌고, 관중 모두 하나가 되어, 오늘의 파티를 즐기며 12월의 밤은 그렇게 깊어 갔다. 시종일관 나도 이 파티에 흠뻑 빠져들었고, 모처럼 딸과 함께 행복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 이문세가 역시 짱이야 ”돌아오면서 친구에게 전화를 했더니.
“그 나이에도 감성이 살아 있으니 누구는 좋겠다.”한다. 나이가 문제인가, 그냥 좋은 것을.
2011 12
짧은 여행 충청도. (0) | 2012.05.05 |
---|---|
화폭에 봄을 담는 수채화 선생님, (0) | 2012.04.25 |
연극 흑인창녀를 위한고백 (0) | 2011.12.08 |
KBS1-한국한국인 방송에 참여. (0) | 2011.10.10 |
바로크 로코코 시대의 궁정문화 (0) | 2011.06.22 |
조카 시집가는 날. (0) | 2012.04.04 |
---|---|
손자 잠옷 만들기 (2) | 2012.01.29 |
손자와 동요부르기 (0) | 2011.10.30 |
손자,손녀와 함께 동요를.. (0) | 2011.08.26 |
안양천을 손자랑 달리다. (0) | 2011.08.23 |